컴퓨터를 처름 조립하거나 조립 후 잘 사용을 하다가 어느날 부팅을 하는데, 컴퓨터에서 삐~ 소리가 나면서 메인보드에 빨간불이 들어오며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지 않는 상황을 맞닥뜨리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컴퓨터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이라면, 이런 상황에 대해 당황스럽거나 컴퓨터가 고장난 건 아닐까 생각이 들기도 할텐데요. 이번 글에서는 이렇게 컴퓨터 부팅 시 메인보드에 빨간불이 들어오며 정상부팅이 되지 않을 때 빨간불이 뭘 의미하는지, 그리고 부팅이 되지 않는 원인과 해결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메인보드 빨간불 켜지는 이유와 의미
각 메인보드의 제조사들은 대부분 메인보드 한쪽에 이지디버그라 불리는 LED 표시등을 설치해 놓는데, 정상적인 부팅이 되지 않을 시 어떤 원인에 의해 부팅이 되지 않는지 표시를 해주는 불빛이라 보면 됩니다. 대략 4개의 LED가 있는데요. 원인에 따라 각각 CPU, DRAM, VGA, BOOT 영역으로 나뉘어지게 됩니다. 메인보드에 보면 각 LED 옆에 조그만 글씨로 쓰여져 있을거예요.
CPU 부분에 빨간불이 들어 왔을 때
부팅을 했는데, CPU 부분에 빨간불이 들어왔다면, CPU에 뭔가 문제가 있는 것이겠지요. CPU가 불량이거나 혹은 메인보드에 조립 시 잘못 조립했을 경우, 빨간불이 들어오게 되는데, 이 때는 CPU 뺐다가 다시 재조립을 해보거나 그래도 동일증상이 나올 때에는 CPU 불량일 확률이 높으므로 CPU 교체를 해야 할 확률이 높습니다.
DRAM 부분에 빨간불이 들어 왔을 때
사실 CPU 빨간불이 들어오는 경우는 흔치 않지만, DRAM 빨간불은 자주 들어올 확률이 높습니다. 이 역시 램 메모리가 제대로 결착이 되지 않거나 접촉불량일 경우 빨간불이 들어오게 됩니다. 그럴 땐 역시 램을 뺐다가 다시 재조립 해보는 것으로 해결되는 경우가 많고요. 간혹 램 슬롯 위치를 잘못 꽂아 빨간불이 들어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만약 메모리 슬롯이 4개가 있는 메인보드라면 2번과 4번 슬롯에 장착을 해야 하고요. 하나만 꽂을 경우엔 2번 슬롯에 꽂아야 하니 참고하세요.
VGA 부분에 빨간불이 들어 왔을 때
의외로 VGA 부분에 빨간불이 들어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VGA 빨간불은 모니터 전원을 켜지 않은 채 컴퓨터 전원을 켰을 경우, 빨간불이 뜨는 경우가 가장 많은데, 이럴 땐 껐다가 모니터 전원을 먼저 켠 뒤 컴퓨터 전원을 켜면 해결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요. 간혹 그래픽카드 역시 제대로 조립이 되지 않았거나 접촉 불량일 경우, 뺐다가 재조립 해보시길 바라고, 모니터 케이블 역시 다른 곳에 꽂아보거나 다른 것으로 대체해서 연결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래도 계속 빨간불이 들어온다면, 그래픽카드 점검을 받아보셔야 할 것 같네요.
BOOT 부분에 빨간불이 들어 왔을 때
BOOT 부분에 빨간불이 들어오는 경우는 대부분 PC 조립 후 윈도우를 설치하지 않은 채로 부팅을 했을 때 들어오게 됩니다. 따라서 이는 윈도우를 정상적으로 설치한 후에 부팅을 하면 해결이 되는 문제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IT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D 7800x3d 기가바이트 B650m 커브 옵티마이저 설정 방법 (0) | 2025.02.12 |
---|---|
윈도우11 작업표시줄 날씨 위젯 숨김 및 삭제하는 방법 (0) | 2025.02.10 |
갤럭시 분할화면 설정 및 멀티윈도우 사용법 (0) | 2025.02.05 |
구글 크롬 인터넷 검색기록 삭제 지우기 및 자동저장 끄기 방법 (0) | 2025.02.03 |
아이폰 남은 저장공간 확인 및 부족 시 용량 늘리기 방법 (0) | 2025.01.24 |
댓글